에너지 관리 분야는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환경 보호, 산업 안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를 대표하는 국가기술자격증이 에너지관리기사와 에너지관리산업기사입니다. 두 자격증은 이름은 비슷하지만 다른 등급으로 응시 자격, 시험 난이도, 취득 후 활용 분야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에너지관리기사와 에너지관리산업기사의 응시 조건과 시험 과목 및 절차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에너지관리기사와 에너지관리산업기사란?
열 에너지는 가정의 연료에서부터 산업용에 이르기까지 그 용도가 다양합니다. 이러한 열 사용처에 있어서 연료 및 이를 열원으로 하는 연료사용 기구의 품질을 향상 시킴으로써 연료자원의 보전과 기업의 합리화에 기여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에너지 관리 자격증이 제정되었습니다.
에너지관리기사와 에너지관리산업기사는 각종 산업기계, 공장, 사무실, 아파트 등에 동력이나 난방을 위한 열을 공급하기 위하여 보일러, 냉동기 및 관련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에너지 시스템의 점검과 관리 능력을 갖춘 전문 기술자를 양성하는 국가기술자격증입니다. 주로 에너지 효율화, 보일러 운전, 설비 안전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에너지 산업 분야로 진출하려는 학생과 취업 준비생에게 필수적인 자격증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관리기사와 에너지관리산업기사 응시 조건
1) 에너지관리기사 응시 조건
- 4년제 대학 관련학과(기계공학과, 기계설계공학과, 건축설비공학과, 에너지공학과 등) 졸업자, 졸업예정
- 3년제 전문대 졸업 후 관련 실무 1년 이상 경력
- 2년제 전문대 졸업 후 관련 실무 2년 이상 경력
- 산업기사 취득 후 동일 직무 분야 실무 1년 이상
- 기능사 취득 후 실무 1년 이상
- 실무경력 4년 이상
2) 에너지관리산업기사 응시 조건
- 관련학과 전문대 졸업자, 졸업예정자
- 산업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 학점은행제 41학점 이수자
- 동일, 유사분야 산업기사 자격 소지자
- 기능사 취득 후 실무경력 1년
- 실무경력 2년 이상
따라서 두 시험 모두 단기간 준비가 어렵고, 현업에서 일정 경력을 쌓았거나 관력 학과 졸업후 응시 가능한 상위 자격입니다.
에너지관리기사와 에너지관리산업기사 시험 과목 및 절차
1) 에너지관리기사 시험 과목
- 필기 (객관식, 100문항 각 20문항 , 2시간 30분)
1. 연소공학
2. 열역학
3. 계측방법
4. 열설비 재료 및 관계 법규
5. 열설비 설계 - 실기 (필답형, 약 3시간)
관리 실무(계산 문제, 설계, 법규 적용 등)
2) 에너지관리기사 시험 과목
- 필기 (객관식, 4과목, 80문항, 2시간)
1. 열 및 연소설비
2. 연설비설치
3. 열설비운전
4. 열설비안전관리 및 검사기준 - 실기 (복합형 + 작업형, 약 4시간 30분)
에너지 사용설비 원리를 이용하여 설비 점검 및 진단과 에너지 절약 기법을 활용하여 손실요인 개선과 관리능력을 평가합니다.
과목당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 득점 시 합격
에너지관리기사와 에너지관리산업기사는 모두 에너지 효율화, 산업 안전, 친환경 경영에서 필수적인 자격증입니다. 사무용 빌딩, 아파트, 호텔 및 생산공장 등 열 설비류를 취급하는 모든 기관과 보일러 검사 및 품질관리부서, 소형공장에서 대형공장까지 보일러 담당부서, 보일러 생산 업체, 보일러 설비업체 등으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열관리기사의 고용은 현 수준을 유지하거나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력 수요가 주로 가을, 겨울철에 몰려있고 열 설비류 중 도시가스 및 천연가스사용의 증대, 여타 유사자격증과의 업무중복 등 감소요인이 있으나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과 절약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에너지 낭비규모가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 높은 수준이여서 상태적으로 열관리기사의 역할이 증가 하였습니다. 따라서 관련 분야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전망으로 보이지만 보일러의 발전 수준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어서 다른 관련 자격증의 추가 취득이 보다 취업에 있어서 유리할 것으로 보입니다.